- 영어로 된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if, else, while 등 명확한 단 하나의 예약어만을 갖음.
- 이에 반해 한글은 하나의 단어에도 다양한 조사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예약어를 하나로 지정하는 것이 애매함.
- 프로그래밍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처음부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조에 맞춰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함.
- 한국어는 명사뒤에 은_는, 이_가 등 다양한 조사가 사용되며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문자열 변수를 출력할 때 조사를 확정해서 출력문을 작성할 수 없음.
- 대부분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의 주된 개발 목적은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저학년 등의 컴퓨팅적 사고 능력 향상임.
- 기존의 class, function, variable, constructor 과 같은 어휘를 단순 번역할 경우 결국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때와 같이 영어로 먼저 사고하고 코드만 한국어로 작성하는 낭비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.
- 예를 들어 기존 ‘ㄱ언어’는 대입 연산자
=
의 직관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해당 연산자를 <-
로 변경함.
- 하지만 이러한 연산자 또한 크게 직관적이라고 와닿지 않으며 오히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혼동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함.